코딩두의 포트폴리오

3. 정보통신, TCP/TP 프로토콜, 도메인 본문

인터넷의 이해

3. 정보통신, TCP/TP 프로토콜, 도메인

코딩두 2024. 4. 14. 20:04

1. 정보통신과 통신구조

정보통신

전기통신: 정보의 전달 수단으로 전기를 이용

통신의 목적: 전송거리, 전송지연 극복 / 정보 신속하게 전송

데이터 통신 (컴퓨터 통신)

  • 데이터: 임의의 형태로 형식화된 사실,개념,의사,명령을 사람,기계에 의한 처리가 적합합도록 숫자,문자,기호로 표현
  • 데이터 통신: 전기통신회선에 전자 계산기의 본체, 부수되는 입출력 장치, 기타 기기를 접속 -> 정보 송수신 처리 통신
  • 데이터통신 시스템: 컴퓨터와 원거리에 있는 터미널 또는 다른 컴퓨터를 통신회선으로 결합                                            -> 구성: 메시지, 송신자, 수신자, 전송매체, 프로토콜

정보통신망

근거리통신망(LAN)

  • 좁은 지역에서 다양한 디바이스 상호연결하고, 이들 디바이스 간 정보 전송 수단 제공하는 통신망
  • Ethernet, Fast Ethernet, 1/10 Gigabit Ethernet
  • Wireless LAN

도시권통신망(MAN)

IEEE 802.6 DQDB, Metro-ATM, Metro-Ethernet

 

광역통신망(WAN)

넓은 영역(ex 국가)을 커버하는 통신망 / 공중통신망사업자가 지정되어 영엽하는 통신망

전화망, 데이터통신망,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 광통신망, 이동통신망

PAN(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개인 통신망, 개인의 주위를 커버하는 컴퓨터 통신망

 

특징

  • 단거리의 컴퓨터와 주변기기, 이동단말기 등 상호 양방향 무선통신을 지원
  • 저가격, 저전력, 저가의 구현 기능을 지원
  • 데이터 전송속도가 수백 kbps 정도로 제한

방식

  • Bluetooth : IEEE802.15.1 표준
  • UWB(Ultra WideBand : High Data Rate) : IEEE802.15.3 표준
  • ZigBee(Low Data Rate) : IEEE802.15.4 표준

컴퓨터 네트워크 개요

컴퓨터 통신: 컴퓨터 사이의 정보 교환

컴퓨터 네트워크: 정보교환이 가능한 컴퓨터의 집합

장점: 자원공유, 정보교환, 처리속도 향상, 신뢰도 향상

프로토콜 구조 필요성

두 컴퓨터 사이의 파일 전송 시, 두 컴퓨터 사이에느 직접적이든 통신마을 통해서든 데이터 경로가 있고, 추가하여 송신시스템이 데이터 전송 경로를 직접 가동시키든가 혹은 수신 시스템을 판별할 수 있는 정보를 통신망에 알려야 함

프로토콜 구성요소

프로토콜(Protocol): 두 객체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지배하는 규칙들

객체(Entities):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전자우편, 터미널

Systems: 컴퓨터, 터미널, 원격 센서

 

구성요소

Syntax: 데이터 형식, 신호 레벨 / Semantics: 제어 정보, 에러 처리 / Timing: 속도 정합, 순서화

프로토콜 구성 통신구조

통신 기능을 다수의 작은 모듈로 분할 - ex) 3계층 구조

국제 표준 통신구조

필요성: 컴퓨터 관련 장치들 사이에 통신의 필요성 증대

 

국제표준 통신구조

OSI 7계층 참조 모델: 국제표준화기구(ISO) *이상적인 모델로 실제 사용은 X

TCP/IP Protocol Suite: IETF - 인터넷에 적용되어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중

OSI 7계층 참조 모델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계층 구조 - 각 계층은 통신을 위해 필요한 기능의 일부 담당, 모든 층은 위치에 상관없이 하위 층의 서비스 사용

 

7계층

응용., 표현, 셰션, 전송,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의 7계층으로 구성 (응용이 상위 / 물리가 하위 계층)

계층별 기능

1계층: 물리계층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간의 데이터 비트의 교환을 제어

2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물리적 링크를 통한 신뢰서 있는 데이터 전송 제공

3계층: 네트워크계층

두 시스템간의 연결성과 경로 선택 제공

4계층: 전송계층

종단간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책임

5계층: 세션계층

응용간의 대화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제공

6계층: 표현계층

다른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이 읽을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 및 부호화 제공

7계층: 응용계층

OSI 모델에서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층이며, 종단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 제공

 

2. TCP/IP 프로토콜 구조와 IP주소

TCP/IP 프로토콜 구조

IETF, RFC / 국제 표준

5계층 구조: 응용,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 계층으로 이루어짐

TCP/IP 계층 기능

물리계층

데이터 종단 장치와 전송 매체 사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제공

데이터 링크 계층

종단시스템과 네트워크 사이의 논리적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교환

전송 계층

응용 사이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교환을 지원

응용 계층

분리된 모듈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응용을 지원

인터넷 식별자

인터넷 식별자

인터넷상에서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한 수단

주소(IPV4, IPV6 주소), 도메인 이름, 전자우편 주소

IP주소(IP Adrdress): 숫자

IPB

 

'인터넷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인터넷 이용방법과 관련기구  (0) 2024.04.14
1. 인터넷 개요  (0) 2024.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