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Rocky Linux
- colab
- Github
- 코딩도장
- git
- KAKAO
- OSS
- Python
- C언어
- Spring
- GoogleDrive
- 크롤링 개발
- Database
- Kubernetes
- suricata
- cloud
- Resnet
- Powershell
- VSCode
- LINUX MASTER
- Machine Learning
- Docker
- API
- 고등학생 대상
- rnn
- ChatGPT
- 인터넷의이해
- 국가과제
- Spring Boot
- ICT멘토링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두의 포트폴리오
1. 인터넷 개요 본문
1. 인터넷의 정의와 역사
인터넷이란?
- 가장 완벽한 학습도구, 연구도구, 홍보도구, 상업도구
- 가상 공간이자 정보의 바다
- 멀티미디어 통신망
- 전세계적인 고속통신망
- TCP/IP Protocol을 사용하는 International Network
-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인터넷의 특징
- 개방적인 구조
- 독자적인 IP 주소 - 고유한 IP 주소 가짐
-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송수신
-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개발 - 호환성
인터넷의 역사 / 국내 인터넷의 역사
PDF 참고
인터넷 서비스
- 기본 서비스 - e-mail, ftp, telnet, usenet news
- 정보 검색 서비스 - WWW, archie, gopher, finger
- SNS와 기타 서비스
전자우편
- Electronic-Mail, 1대1/1대다 전송 가능
- 인터넷 서비스 중 가장 많이 사용 - 텍스트와 HTML, 파일 첨부, 빠른 전달시간, 저렴한 비용
- Mailing List: 가입한 사람들의 목록
Spqm Mail(Junk Mail) 전자우편의 부작용
- 불필요한 인터넷 전자우편(주로 상품 광고)
- 1978년 컴퓨터 시스템 판매원이던 게리 투어크가 알파넷의 사용자들에게 광고 이메일 보낸 것이 시초
- 한국인터넷진흥원 불법스팸대응센터,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인터넷침해대응센터
-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시행령
WWW(World Wide Web)
- 하이퍼링크에 기반한 하이퍼텍스트 문서
- 네트워크를 통해 HTTP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 Hypertext - 텍스트에 하이퍼링크를 두어서 서로 연결된 문서
- Hypermedia - Text, Image, Sound, Movie 등을 하이퍼미디어 구조로 만든 것
- WWW Protocol - 통신 프로토콜(HTTP,TCP/IP), 문서 형식(HTML), 주소 형식(URL)
- WWW Client - HTML 문서 보여줌, 하이퍼링크 선택 기능, 프로토콜 수용
2. 인터넷 관련기구 및 국내 인터넷 현황
인터넷 관련기구
- ISOC - 1992년 설립, 인터넷의 표준,교육,그리고 정책과 관련된 리더쉽 제공
- IETF - 인터넷에 관련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임, RCF
- ICANN - 1998년 설립, 인터넷의 비즈니스,기술계,학계 및 사용자 단체 등으로 구성된 기관, 인터넷 DNS의 기술적 관리,IP 주소공간 할당, 프로토콜 파라미터 지정, 루트 서버 시스템 관리 등의 업무 조정
- INTERNIC - ICANN 인증 도메인 등록업체
1990년대 중반부터 고속 성장 - 5대 국가기간전산망(연구전산망,교육전산망,정부 및 공공기관망,행정전산망,국방방) 구축
국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 공공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 한국교육전산망협의회(KREN), 한국정보사회진흥원(KORE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REOnet), 한국교육학술정보원(EDUNET) 등 7개의 기관
- 인터넷 사용 서비스 제공자 - KORENT: 케이티, BORANet: 엘지유플러스, broadNnET: SK브로드밴드 등 86개 업체
2019년 인터넷 10대 이슈 전망
크리에이터 경제, 데이터 경제, 블록체인, 스마트 모빌리티, 5G, 디지털 헬스케어, 인공지능, 실감형 콘텐츠, 규제 샌드박스, 엣지 컴퓨팅
3. 무선 인터넷, 사물 인터넷
무선 인터넷의 정의
- 무선 단말기로 무선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이용하는 인터넷서비스
- 유동성,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서비스 이용 가능
- 무선 고정 인터넷과 무선 이동 인터넷으로 구분
무선 인터넷의 종류
- 모바일 인터넷: 이동전화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에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이용
- 무선랜(Wi-Fi): 무선접속장치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핫존에서 무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이용
- 초고속 무선인터넷(Wibro): 광대역 무선인터넷 서비스로, 전용 모뎀을 노트북 PC, PDA 등에 연결하여 인터넷 이용
무선 인터넷 접속번호
WINC: Wireless Internet Numbers for contents
이용환경을 개선 목표,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국내 이동통신3사와 계약 -> URL 대신 번호 통해 무선인터넷 콘텐츠에 접속
모바일 주소 이용 -> 숫자 입력 후 무선인터넷 접속버튼 누름 -> 모바일 홈페이지에 바로 접속 가능
인터넷: 사물인터넷, 만물인터넷
사람위주에서 사물위주로 확산 / 기계쪽으로 갈수록 트래픽 증가
사물인터넷(IOT)이란?
사물인터넷
- 주의의 사물 하나 하나가 인터넷에 서로 연결된 것이 의미 - 새로운 기능, 가치 제공
-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된 것 -> TCP/IP Protocol Suite 기반
- 세계적인 표준기구들은(ITU, 3GPP, IEEE, ETSI) 다양하게 정의
- "IoT를 기기 및 사물에 통신 모듈이 탑재,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사람과 사물 간, 사물과 사물 간 정보 교환 및 상호 소통할 수 있는지능적 환경"
- 모든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 정보 교환 및 상호 소통
아키텍처 개요 S-P-N-D-Se
- Device: 데이터 생성,소비 발생
- Network: 연결기능
- Platform: Intelligence 담당
- Service: 고객에게 제공
- Security: 데이터 유통 증가에 따른 보안 중요
응용 서비스 분야
핼스케어: 질병, 질병 발생 후 효율적으로 관리 / 웰니스: 질병, 질환 발생 사전에 예측
스마트 홈: 가정용 디바이스들이 서로 소통함 -> 최적화된 생활환경 유지
스마트 시티: 인적자원, 사회 인프라, 교통수단, ICT 기술 등에 투자하여 향상을 이룰 수 있는 도시
스마트 물류 유통 서비스 - 아마존, 테스코
'인터넷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정보통신, TCP/TP 프로토콜, 도메인 (0) | 2024.04.14 |
---|---|
2. 인터넷 이용방법과 관련기구 (0) | 202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