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git
- 국가과제
- GoogleDrive
- colab
- Resnet
- Spring
- 코딩도장
- OSS
- Database
- VSCode
- 인터넷의이해
- cloud
- Python
- API
- Machine Learning
- 크롤링 개발
- ICT멘토링
- rnn
- suricata
- KAKAO
- 고등학생 대상
- Github
- Rocky Linux
- ChatGPT
- Docker
- Kubernetes
- C언어
- Powershell
- LINUX MASTER
- Spring Boot
- Today
- Total
목록Docker (3)
코딩두의 포트폴리오
도커(Docker)Linux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관리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Linux 컨테이너 생성 및 사용을 돕는 컨테이너 기술 도커 이전 환경개발환경과 테스팅, 운영환경의 차이전문 엔지니어의 지식에 의지하여 개발 및 서버 운영 -> 협업의 어려움APP 업데이트, 서버 변경, 재구축, 유지보수의 어려움 도커 등장 이후한 번 만들어놓은 환경 그대로 사용 가능모든 엔지니어가 하나의 언어로 협업 가능SW 업데이트, 서버 유지 보수 용이 도커 vs 가상머신가상머신: Guest OS 필요 -> 오버헤드 발생도커: Host OS 공유 -> APP 단위 처리 가능 -> 빠른 실행 및 배포이미지와 컨테이너이미지: 기능 정의파일 + 도커 메타데이터 구성컨테이너: 이미지로 정의..
2.1 도커 이미지의 내부 파일 구조 보기 - docker run ls 위 명령어 뒤에 추가로 ls 명령어 입력 시 -> 컨테이너 실행할 때 내부에 무슨 파일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음 'docker run alpine ls'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 클라이언트를 통해 'docker run alpine ls' 명령어를 도커 서버에 전달 도커 서버에서 도커 이미지를 이용해 도커 컨테이너 실행 도커 이미지 뒤에 적은 ls 명령어를 실행 -> alpine 이미지 안에 있는 디렉터리와 파일 목록 조회 bin, dev, etc 등의 폴더와 파일 등 확인 docker run ls 실행과정 01. alpine 이미지를 이용해 컨테이너 생성 02. 컨테이너 생성 시 alpine 이미지 안에 들어 있던 파일 스냅숏(bin,..
1.1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 회사에 도커 사용 비중 상승 -> 어떠한 프로그램을 내려받는 과정을 간단히 만들기 위해서 도커 사용하지 않을 때와 도커를 사용해 프로그램 설치 시 도커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그램 설치 시 인스톨러 내려받기 -> 인스톨러 실행 -> 프로그램 설치 완료 -> 에러 발생... 에러 발생 이유: 프로그램을 설치하려는 서버, 패키지 버전, 운영체제 등 [도커 사용 X 인스톨러로 레디스(Redis) 설치] vs [도커 이용 O 같은 프로그램 설치] 비교 해볼 예정 레디스 설치하기 (window) 1. 레디스 홈페이지로 이동 (https://redis.io/) 2. 윈도우 환경이라서 github에서 제공된 msi 확장자 설치 (https://github.com/microsoft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