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인터넷의이해
- Spring
- Rocky Linux
- git
- suricata
- rnn
- C언어
- Powershell
- API
- Spring Boot
- Docker
- LINUX MASTER
- Database
- KAKAO
- Python
- OSS
- GoogleDrive
- 국가과제
- 고등학생 대상
- Machine Learning
- ICT멘토링
- Kubernetes
- ChatGPT
- 크롤링 개발
- colab
- Github
- 코딩도장
- Resnet
- VSCode
- cloud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두의 포트폴리오
Cloud Computing - #5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AWS 활용 가상머신 구축 본문
1. AWS EC2 구축하기 - 준비사항
AWS Elastic Compute Cloud (EC2)
AWS 인프라에서 동작하는 안전하고 크기 조정이 가능한 가상 서버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사용 -> 다양한 운영체제 선택 가능
AWS 계정
키(key) 페어
EC2 로그인 시, 사용할 인증수단
키 페어 유형: RSA(공개 키 알고리즘)
프라이빗 키 파일 형식
- .pem: OpenSSH(우리는 Shell) 및 Window RDP 사용 시
- .ppk: PuTTY
필요에 따라 키 파일 생성(pem-22000000, ppk-22000000)
다운로드 된 파일 잘 보관하기
2. Window 가상머신 구축
1단계: Name 추가 -> Name: 학번-windows
2단계: AMI(Amazon Machine Image) 선택 - Microsoft Windows Server 2022 Base
3단계: 인스턴스 유형 선택 (t2.micro) - 기본값
4단계: 키 선택 (키 페어 부분에서 생성한 키 선택)
window 가상머신 접속 시, pem 인증서 사용
5단계: 네트워크 설정 (보안 그룹 추가)
6단계: 스토리지 선택 -> 7단계: 인스턴스 시작
Windows 가상머신 접속
3. Linux 가상머신 구축
1단계: Name 추가 -> Name: 학번-linux
2단계: AMI(Amazon Machine Image) 선택 - Microsoft Windows Server 2022 Base
3단계: 인스턴스 유형 선택 (t2.micro) - 기본값
4단계: 키 선택 (키 페어 부분에서 생성한 키 선택)
windows 가상머신 접속 시, pem 인증서 사용
5단계: 네트워크 설정 (보안 그룹 추가)
6단계: 스토리지 선택 -> 7단계: 인스턴스 시작
Linux 가상머신 접속
Linux 가상머신에 웹 서버 설치
Linux 시스템에서 Apache HTTP 서버를 설치하고 시작하는 데 사용
- sudo yum install httpd
- sudo systemctl start httpd
-
- sudo yum install httpd
- sudo: 이 부분은 명령어를 'superuser' 권한으로 실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합니다.
-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로, Red Hat 계열의 Linux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관리(설치, 업데이트, 삭제 등)하기 위한 명령어 도구입니다.
- install httpd: yum을 사용하여 'httpd'라는 패키지를 설치하라는 명령입니다. httpd는 Apache HTTP Server의 패키지 이름으로, 웹 서버 소프트웨어입니다.
- sudo systemctl start httpd
- sudo: 이 명령어 역시 'superuser' 권한으로 실행됩니다.
- systemctl: systemd의 일부로, 시스템과 서비스 관리자를 위한 도구입니다. systemd는 modern Linux 시스템의 표준 init 시스템으로 서비스의 시작, 정지, 재시작 등을 관리합니다.
- start httpd: systemctl을 사용하여 'httpd' 서비스를 시작하라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Apache HTTP Server가 실행되기 시작합니다.
- sudo yum install httpd
보안그룹 편집: 80번 포트 허용 -> 웹 서버 접속해보기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Computing - #7 클라우드 네트워크 구축2: AWS 활용 가상머신 구축 (0) | 2024.04.09 |
---|---|
Cloud Computing - #6 클라우드 네트워크 구축1: 네트워크 구성요소 (0) | 2024.04.09 |
Cloud Computing - #4 클라우드 핵심기술: 가상화 기술 (0) | 2024.03.26 |
Cloud Computing - #3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및 배포 모델 (0) | 2024.03.26 |
Cloud Computing - #2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0) | 2024.03.26 |